
지난 8월 12일, 파쳄 작은 도서관과 서경대학교 금융소비자연구회(FCL) 금융교육콘텐츠팀이 공동으로 기획한 경제 교육 프로그램 「복작복작 경제이야기: 그 많던 용돈은 다 어디로 갔을까?」가 초등학교 저학년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이번 교육은 어린이들이 일상 속에서 자연스럽게 경제 개념을 이해할 수 있도록 마련됐다. 참가 학생들은 ‘유한한 자원’이라는 개념을 용돈, 자연환경, 시간 등을 통해 주제를 배우며, 제한된 자원 속에서 합리적인 선택의 중요성을 익혔다.
교육은 영상 시청과 개념 설명, 체험 활동으로 구성됐다. 짧은 영상을 통해 ‘한정된 자원과 합리적인 선택’의 개념을 이해한 뒤 생활과 연결되는 사례를 살펴보았으며, 이어진 시장놀이에서는 가상의 시장에서 물건을 직접 구매하며 합리적 소비와 선택의 문제를 체험했다. 교육 프로그램 이후에는 Q&A 시간을 통해 학생들이 평소 궁금했던 경제 관련 질문에 답을 얻는 시간도 마련됐다.
참가한 한 초등학생은 “용돈을 아무 데나 쓰면 금방 없어지는 걸 알았다. 이제는 꼭 필요한 것부터 생각하고 소비를 해야겠다.”라고 소감을 밝혔다. 교육을 진행한 서경대학교 금융소비자연구회(FCL) 팀원은 “교육을 통해 성인인 우리도 합리적인 소비와 선택에 대해 다시 생각할 수 있었다”라고 말했다.
파쳄 작은 도서관 사서는 “경제 교육은 성인 뿐 아니라 어린 시절부터 반드시 필요한 학습”이라며 “아이들이 경제를 자연스럽게 접하고 친근하게 다가갈 수 있도록 앞으로도 다양한 프로그램을 마련하겠다.”라고 전했다.
최근 초등학생들의 카드 사용량 증가와 같은 현실을 고려할 때, 이번 프로그램은 단순한 용돈 관리 차원을 넘어 ‘한정된 자원과 무한한 욕구 사이에서 선택하는 힘’을 배우게 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돈 뿐 아니라 시간과 같은 보이지 않는 자원까지 관리하는 습관은 어린 시절부터 길러야 할 중요한 역량으로, 가정에서도 함께 생각해 볼만한 주제다.
이번 프로그램은 단순한 지식 전달을 넘어 놀이와 활동을 통해 아이들이 주체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파쳄 작은 도서관과 서경대학교 금융소비자연구회(FCL)는 앞으로도 어린이들이 실생활과 맞닿은 배움을 통해 건전한 경제 습관을 형성할 수 있도록 협력을 이어갈 계획이다.
초등 저학년생을 위한 경제교육 아이디어 |
1. 한정된 자원과 선택의 문제 체험 |
◎ 활동: 시장놀이에서 정해진 ‘용돈’을 주고, 사고 싶은 물건이 많지만 다 살 수 없다는 걸 경험하게 함. 또한 시장에 존재하는 물건들도 유한한 자원이라는 것을 경험함. ◎ 메시지: 돈과 자원은 한정적이므로, 꼭 필요한 것부터 선택해야 함 |
2. 합리적인 선택 및 소비 체험 |
◎ 활동: 본인이 시장놀이에서 구매한 물건들을 소개하고 구매 이유와 사용계획을 발표함. ◎ 메시지: 구매에서 끝나는 것이 아닌 구매를 통해 본인이 물건을 활용할 계획을 세워 소비에 대한 확신과 만족감을 가질 수 있음. |
서경대학교 금융소비자연구회(FCL)는
금융정보공학과 박원주 교수가 지도하는 학생 중심 금융 연구회로,
어려운 경제 금융 소식을 독자 여러분께 쉽고 재미있게 전달하기 위해
격주 1회 카드뉴스를 발행합니다.
*외부 기고자의 원고는 본지의 편집 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