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에듀테크 산업이 기술 중심에서 사람 중심으로 나아가고, 민간 중심 협력 생태계가 꽃필 수 있도록 힘을 모아야 합니다.”
지난달 26일 서울 강남구 섬유센터에서는 한국에듀테크산업협회가 주관하는 ‘2025 에듀테크 이슈&정책 세미나’가 열렸다. 학교와 기업 현장의 에듀테크 활용 현황을 살펴보고 나아갈 길을 모색하기 위한 자리다. 발표에는 정영식 전주교육대학교 교수, 홍정민 휴넷L&D연구소 대표, 정훈 러닝스파크 대표, 김일 산업통상자원부 엔지니어링디자인과 사무관이 나섰다.
먼저 정영식 교수는 학교 현장의 에듀테크 기반 교육 개혁에 대해 짚었다. 정 교수는 “인공지능(AI)·디지털 기반으로 일어나는 교실 변화에 찬성한다”면서도 “AI 디지털 교과서(AIDT) 등 ‘하이테크(High Tech)’와, 교사의 사회적·정서적 지원과 같은 ‘하이터치(High Touch)’가 조화를 이뤄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교사가 하이테크에만 의존할 경우 학습자의 주체성이 결여된 교육 형태인 ‘네비게이션 교육’만 남을 것”이라며 “에듀테크는 교사를 지원하는 도구로 쓰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학교뿐만 아니라 기업에서도 조직원 역량 개발 교육 시 생성형 인공지능(AI)을 중심으로 에듀테크가 활발히 쓰이는 추세였다. 홍정민 대표는 “실제 기업에서 임직원 대상 교육 과정을 만들 때, ‘챗GPT’ 등 생성형 AI가 혁신적인 성과를 보인다”고 말하며, 그 과정을 영상으로 소개하기도 했다. 영상에 따르면 생성형 AI에 ‘신입사원 대상 커뮤니케이션 능력 향상 교육 콘텐츠 12주 차 분량을 만들어달라’고 명령하자 커리큘럼부터 학습목표·강의 스크립트·교안·영상·학습정리·형성평가까지 만들어냈다. 홍정민 대표는 “90분 만에 이 정도 결과물을 냈다면, HRD 분야만 25년 경력자인 나와 비교했을 때도 꽤 괜찮은 수준”이라고 평했다. 특히 홍정민 대표는 채용공고에서 생성형 AI를 가장 많이 언급한 직무 중 ‘교육과정개발자’가 3위를 차지했다는 글로벌 컨설팅 기업 라이트 캐스트의 조사 결과를 소개하며 “이제 교육 과정을 만들 때 생성형 AI는 필수”라고 말했다.
이처럼 학교와 기업 교육 현장에 에듀테크가 자리 잡고 있는 상황이지만, 에듀테크 시장 전망은 그리 밝지 못하다는 주장도 나왔다. 리서치 컨설팅 스타트업 러닝스파크의 정훈 대표는 “글로벌 에듀테크 시장 규모가 10년 전으로 후퇴했다”고 했다. 정 대표는 “한국 에듀테크 업계가 살아남기 위해선 관료주의에서 벗어나 새로운 기업들이 들어올 수 있는 혁신적이고 협력적인 생태계부터 조성해야 한다”라고 조언했다.
에듀테크 사용에 대한 제언도 이어졌다. 김일 산업통상자원부 엔지니어링디자인과 사무관도 “국내 에듀테크 시장 목표는 비용 절감, 효율성이 아닌 창의성 극대화에 목표를 둬야 한다”고 말했다. 홍정민 대표는 “이미 LG, 삼성 등 대기업이 생성형 AI 교육을 제공하고 있다”며 “중소기업도 적극적으로 AI 교육을 제공해야 한다”며 기업 차원에서 노력을 당부했다.
이길호 한국에듀테크산업협회 회장은 “오늘 산·학·관 각계 전문가들이 발표한 내용을 바탕으로 에듀테크를 활용한 미래신서비스산업을 키울 수 있는 방안을 수립할 계획”이라며 “앞으로 에듀테크 산업과 글로벌 시장으로 진출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