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사교육비 30조 육박…학생수 8만명 줄었는데 ‘역대 최고’
작성 2025-03-14 11:40:56
업데이트 2025-03-17 10:02:01
교육부 로고 ⓒ사진=교육부

지난해 초·중·고교생 사교육비가 29조원을 웃돌면서 4년 연속 최고치를 경신했다.

지난 13일 교육부와 통계청은 전국 초·중·고 약 3000개 학교 학생 약 7만4000명을 대상으로 ‘2024년 초중고 사교육비 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같이 집계됐다고 밝혔다.

작년 사교육비 총액은 29조2000억원으로, 전년보다 2조1000억원(7.7%) 늘었다. 1년 사이 학생 수는 521만 명에서 513만 명으로 8만 명(1.5%) 줄었지만 사교육비 총액은 오히려 늘었다. 사교육비 총액 규모는 ▲2021년 23조4000억원 ▲2022년 26조원 ▲2023년 27조1000억원으로 해마다 증가했다.

사교육 참여율, 주당 참여시간, 학생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 등 주요 조사 항목 모두 지난해보다 증가했다. 사교육 참여율은 전년보다 1.5% 상승한 80%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초등학교 사교육 참여율이 87.7%로 가장 높았다. 사교육 주당 참여 시간 또한 전년 7.3시간 대비 7.6시간으로 늘었다. ▲중학교·초등학교가 각 7.8시간 ▲고등학교가 6.9시간이었다.

2024년 초중고교육비조사 결과 ⓒ사진=통계청

조사에 참여한 전체 학생 기준,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는 9.3% 증가한 47만4000원으로 조사됐다. 사교육 참여한 학생으로만 낸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는 59만2000원으로 지난해(7.2%)보다 증가했다.

과목별 월평균 사교육비는 영어가 가장 높았다. 전체학생 기준 영어 14만1000원(10.4% 증가), 수학 13만4000원(10.0% 증가), 국어 4만2000원(10.0% 증가), 사회·과학 2만원(5.4% 증가) 순이다.

사교육비 지출액은 소득이 높을수록 많았다. 월평균 소득이 가장 높은 800만원 이상 가구의 학생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는 67만6000원으로 전체 구간에서 가장 높았다. 반면 월평균 소득 300만원 미만 가구의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는 이보다 3.3배 낮은 20만5000원으로 최저였다. 두 집단 모두 전년 대비 사교육비 지출이 늘었는데 월평균 소득 800만원 이상은 0.8% 오른 데 비해 월평균 소득 300만원 미만은 12.3% 증가했다.

시도별로 보면 전체 학생 기준 서울의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가 67만3000원으로 전국에서 가장 높았다. 가장 낮은 전남(32만원)과 2.1배 차이를 보였다.

저작권자 © 더팁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400

더 팁스
주소 : 서울특별시 구로구 디지털로 33길 48, 대륭포스트타워7차 20층
전화 : 02-597-2340
등록번호 : 서울 아55691
등록·발행일자 : 2024년 11월 4일
발행인 : 김맹진
편집인 : 임영진
개인정보보호책임자 : 임영진
청소년보호책임자: 김령희
Copyright by 더팁스 All rights reserved.
보도자료 및 제보 메일 news@thetibs.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