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래프=고려대 의과대학 기명 예방의학교실 교수팀 제공
교육 수준이 낮을수록 자살률이 최대 13배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최근 기명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교수팀은 자살의 계층적 불평등 양상 관련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사회과학 및 의학’ 최신호에 발표했다.
연구에 따르면 30~44세 청년 남성 중 최종 학력이 초등학교 졸업 이하인 사람은 대학교 졸업 이상인 사람보다 모든 조사 시기(1995년~2020년)에서 자살률이 6.1~13배 높았다.
특히 초졸 이하 남성 집단 인구 10만 명당 자살률은 2015년 288.2, 2020년 251.4로, 이는 국내 평균 자살률 27.3의 약 10배에 이른다. 세계에서 가장 높은 자살률을 기록한 캐나다 극지 지역에 거주하는 누나부트 부족의 자살률보단 약 2배 높은 수준이다.
연구팀은 한국의 자살률이 계층 간 격차가 크고, 교육 수준이 낮은 계층에서 높게 나타난다고 밝혔다. 특히 정신적 고통과 자살을 유발하는 주원인으로 사회경제적 불평등을 강조했다. 자살 문제가 단순한 개인적 정신 문제가 아닌 사회적 문제로 봐야 한다는 입장이다.
기명 교수는 “최근 국내에서 ‘전 국민 마음투자지원사업’ 등 심리적 지원이 확대되곤 있으나 자살을 사회문제로 인식하고 해결하려는 정책 전반의 변화가 필요하다” “사회적 취약성을 반영한 적극적인 대응이 자살 예방의 핵심”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더팁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