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해 선정된 ‘협약형 특성화고등학교’가 지난 4일 첫 신입생을 맞이하며 본격적으로 운영된다.
협약형 특성화고등학교는 지자체·교육청·지역기업·특성화고 등이 협약을 맺어 지역 맞춤형 교육을 실현하는 학교로, 지역 정주형 기술인재 양성을 위해 지난해 신규 도입됐다.
작년 5월 선정된 제1기 협약형 특성화고등학교는 ▲서울 용산철도고 ▲인천 정석항공과학고 ▲인천 반도체고 ▲대전 충남기계공고 ▲강원생명과학고 ▲충남 천안여자상고 ▲전북 한국치즈과학고 ▲경북 포항흥해공고 ▲경남해양과학고 ▲제주 한림공고 10곳이다.
선정된 학교들은 5년간 최대 45억 원을 지원받고 교육과정 편성·운영에 자율성을 갖는다. 이들 학교는 지역산업 맞춤형 학과로의 개편을 추진하고, 기업 맞춤형 교육과정 및 교재 개발, 교원 전문성을 높이기 위한 연수 등을 실시했다.
교육부는 고교 졸업 후에도 좋은 일자리를 찾아갈 수 있도록 직업교육 혁신을 추진하고 있으며, 협약형 특성화고를 포함한 우수 직업계고 100개교를 육성하여 전체 직업계고의 발전을 선도할 수 있는 새로운 교육 모델을 발굴하고 있다.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협약형 특성화고에서 현장 중심의 실무 교육을 받고 기업과 연계된 실습을 경험해 졸업 후 지역의 핵심 인재로 성장할 기회를 얻게 될 것”이라며 “학생의 미래를 위해 지역·기업·학교가 하나의 팀이 돼 최고의 성과를 만들어 가길 바란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더팁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