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가 정한 의대생 복귀 시한이 도래하며, 1년 넘게 이어지던 집단 휴학 사태도 끝맺을 가능성이 커졌다.
31일 각 대학에 따르면 이날 가천대·건국대·계명대·단국대·대구가톨릭대·아주대·원광대·한양대가 등록·복학 신청을 마감한다. 이로써 4월 초·중순까지 신청 기한을 연장한 강원대와 전북대를 제외한 38개 의대가 이날까지 의대생 등록·복학 신청을 종료하게 됐다.
정부가 지난 7일 ‘3월 내 전원 복귀할 경우 2026학년도 의대 모집인원을 증원 전인 3058명으로 되돌리겠다’고 발표했을 때만 해도 의대생들은 ‘미복귀 휴학’을 이어간다는 기조를 유지하며 ‘단일대오’를 굳건히 했다.
의대생 단체인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의대협)는 지난 20일 학생대표 공동 성명서에서 “적법하게 제출한 휴학원은 여전히 유효하다”며 이런 입장을 재확인했다. 당시 성명엔 40개 의대· 의학전문대학원 대표가 모두 이름을 올렸다.
하지만 의대 학장·교수진의 간곡한 설득과 동시에 올해는 학칙대로 엄정 처분한다는 강경한 대응 방침이 겹치면서 의대생들 사이에서 변화 기류가 생겼다. 가장 먼저 마감 시한을 맞이한 연세대 의대생들이 ‘일단 등록’으로 결정한 데 이어 서울대 의대 학생회도 복귀로 선회하면서 학생들의 복학이 속속 이뤄졌다. 여기에 성균관대·울산대·가톨릭대도 합세하며 ‘빅5’ 의대생들이 전원 복귀했고, 고려대와 거점국립대인 충남대, 부산대 의대생들도 모두 돌아왔다.
복학 규모가 공개되지 않은 의대들의 상황도 크게 다르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처럼 복귀가 대세로 자리 잡으며 미복귀를 고수하는 일부 의대 학생들도 결국 돌아올 가능성이 작지 않다는 분석이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