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1∼2 학교폭력 발생 시 심의 유예…‘관계 회복 숙려 기간’ 도입
내년부터 초등학교 저학년(1∼2학년) 간 학교폭력 사안은 심의에 앞서 ‘관계회복 프로그램’을 실시하는 제도가 시범 운영된다. 교육부는 지난 30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제5차 학교폭력 예방 및… 더 보기 »초1∼2 학교폭력 발생 시 심의 유예…‘관계 회복 숙려 기간’ 도입
내년부터 초등학교 저학년(1∼2학년) 간 학교폭력 사안은 심의에 앞서 ‘관계회복 프로그램’을 실시하는 제도가 시범 운영된다. 교육부는 지난 30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제5차 학교폭력 예방 및… 더 보기 »초1∼2 학교폭력 발생 시 심의 유예…‘관계 회복 숙려 기간’ 도입
교육부는 광역자치단체와 함께 24일부터 다음달 14일까지 저소득층 및 장애인을 대상으로 ‘2025년 평생교육이용권’ 1차 신청을 받는다고 지난 23일 밝혔다. 평생교육이용권은 사회·경제적 여건에 따른 평생교육 참여… 더 보기 »교육부, 저소득층·장애인에 평생교육이용권 ‘35만원’ 지원
교육부가 학교 현장에서 디지털 성폭력이 발생했을 때 교사·학생·학부모의 상황별 대응 방법을 담은 가이드를 내놨다. 교육부는 지난 22일 학교 디지털 성폭력 초기 대응을 위한 ‘디지털 성폭력… 더 보기 »교육부, ‘디지털 성폭력 SOS 가이드’ 발간…“딥페이크 등 성범죄 초기 대응”
정부가 2026학년도 의대 모집인원 3058명으로 ‘원점 회귀’했지만, 지역인재 전형 선발 비중 60%는 유지할 계획이다. 구연희 교육부 대변인은 지난 21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정례 브리핑에서 “의대 모집인원이… 더 보기 »교육부, 의대 정원 ‘3058명 회귀’에도…“지역인재전형 권고율 60% 유지”
고교 무상교육 비용의 절반가량을 중앙정부가 계속 부담하도록 한 ‘지방교육재정교부금법 개정안’이 결국 폐기돼, 전국 시도교육청이 추가로 내야 할 부담액이 연간 9300억원을 웃도는 것으로 추산됐다. 지난 20일… 더 보기 »‘고교 무상교육’ 정부 부담 중단에…교육청 ‘연간 9300억’ 더 내야
행정안전부와 교육부가 합동으로 ‘폐교재산 활용 가이드라인’을 마련했다고 지난 17일 밝혔다. 폐교재산 활용 가이드라인은 폐교 공표부터 대부·매각까지 전반적인 행정절차와 적용 법규 등을 담은 것으로, 학령 인구… 더 보기 »방치된 폐교, 활용 쉬워진다… ‘폐교재산 활용 가이드라인’ 발표
교육부는 오는 20일 ‘제45회 장애인의 날’을 맞아 각 학교에 장애 이해 교육을 위한 콘텐츠를 보급하고 특수교육 유공자를 표창한다고 지난 17일 밝혔다. 교육부는 2005년부터 매년 장애인의… 더 보기 »교육부, 장애인의 날 맞아 교육 콘텐츠 보급·유공자 표창
교육부는 행정안전부와 함께 이달부터 전국 유치원, 초·중·고등학교, 특수학교 중 희망학교를 대상으로 ‘학생(어린이) 주도 재난안전훈련’을 연중 실시한다고 지난 13일 밝혔다. 학생(어린이) 주도 재난안전훈련은 유치원생 때부터 재난대피… 더 보기 »교육부, 전국 476개교 대상 ‘학생주도 재난안전훈련’ 실시
교육부와 한국대학교육협의회(대교협),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는 11일 중앙대학교에서 ‘제3차 고등교육재정 혁신 토론회’를 연다. 토론회는 관계자들의 의견을 토대로 고등교육재정 확충 전략을 추진하기 위한 것으로, 지난 2월부터 매달 개최되고 있다.… 더 보기 »교육부, 제3차 고등교육재정혁신 토론회 개최…‘고특회계’ 성과와 과제는
고교학점제가 전면 도입된 지 한 달이 지난 가운데, 교사 절반이 고교학점제가 현장에서 원활하게 운영되지 않는다고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9일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강경숙 조국혁신당… 더 보기 »고교학점제 전면 도입 1개월…교사 56.2%, “부정적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