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는 11월 5일 미국의 제46대 대통령 선거가 치러진다. 미국의 대통령 선거는 전 세계 정치 및 안보 지형을 좌우하는 ‘빅 이벤트’다. 올해는 미 대선은 인종, 성별, 성향 등 여러모로 양극단에 서 있는 공화당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과 민주당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이 양자 대결 구도를 이룬다.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닌 미국 대선을 제대로 관전하기 위해 알아야 할 미국 선거 제도 상식과 주요 쟁점을 정리했다.
◇ 선거인단? 경합주? 미국 대통령 선거 제도 기본 상식
여기서 중요한 특징은 선거인단 제도가 ‘승자독식 방식’을 채택한다는 점이다. 승자독식 방식은 그 주에서 가장 많은 표를 얻은 후보가 해당 주 선거인단을 독식하는 방식이다. 만약 A 후보 지지율이 51%, B 후보 지지율이 49%라면 A 후보가 근소하게 앞설지라도 선거인단 모두는 A 후보를 지지해야 한다. 미국 메인주와 네브래스카주 2곳을 제외한 48개 주와 특별구 워싱턴DC는 이와 같은 방식으로 선거를 치른다. 승자독식 방식 탓에 후보들이 선거 결과에 영향을 주는 주에만 유세와 선거운동을 집중한다는 문제도 있다.
미국 대부분 주는 진보 성향 민주당을 지지하는 ‘블루 스테이트’와 보수 성향 공화당을 지지하는 ‘레드 스테이트’가 정해져 있어 ‘스윙 스테이트’라고 불리는 ‘경합주’가 중요하다. 경합주는 선거 때마다 지지 정당이 바뀌는 곳으로, 경합주의 선거인단을 어떤 후보가 더 많이 가져오는지에 따라 보통 대선의 판세가 갈린다. 경합주는 선거 때마다 바뀌기도 하지만 이번 대선 주요 경합주는 노스캐롤라이나·미시간·네바다·펜실베이니아·위스콘신·조지아·애리조나 7곳이며, 총 93명의 선거인단이 배정되어 있다.
◇ ‘트럼프 vs 해리스’ 2024 미국 대선 주요 쟁점
경제 문제는 고물가 및 경제 양극화 체감으로 경제 상황을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유권자들에게 핵심 쟁점이다. 트럼프 후보는 경제 회복 및 자국 산업 보호를 위한 ‘미국 우선주의 경제’를 내세우고 있다. 그 내용은 금리 인하, ‘세금 감면 및 노동법’(TCJA)’ 확대 및 연장, 미국 제조업과 자동차 산업 규제 완화,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폐지다. 반면 해리스 후보는 경제적 불평등 완화를 위한 ‘기회 경제’를 추구한다. 중산층의 경제 안정을 위해 식료품 가격을 낮추고, 신규 주택을 건설하며, 건강보험료 보조금을 확대하겠다는 계획이다. 여기에 노동자 중심 정책과 친환경 산업 육성을 통해 경제 혁신을 도모한다.
또 다른 쟁점으로는 두 후보가 내놓은 상반된 이민 정책이 있다. 미국 사회 내 불법 이민자 문제는 인종·고용·복지·범죄와 관련해 확대되면서 중대한 사회적 문제로 자리 잡았다. 이에 트럼프 후보는 미국 역사상 최대 규모로 불법 이민자를 추방하고, 지난 임기에 시작한 국경 장벽을 완공하겠다고 밝히며 반이민 정책을 밀고 있다. 해리스 후보는 포괄적 이민 개혁을 통한 합법적 이민 확대 공약을 앞세운다. 이민자 가족을 인도적으로 대우하고, 난민 수용 및 지원을 확대하며, 국경 안보 강화를 위한 초당적 법안을 지지한다.
한편 낙태권 관련 문제는 특히 여성 유권자의 표심에 영향을 주며 쟁점으로 떠올랐다. 현재 미국에서 낙태권은 2022년 낙태의 헌법적 권리를 보장하는 ‘로 대 웨이드’ 판결이 무효가 된 후 각 주마다 합법 여부가 규정되는 제한적 권리이다. 이를 두고 해리스 후보는 재임 시절 우파 대법관을 임명한 트럼프 후보 탓에 판결이 뒤집혔다고 강조하고 있다. 해리스 후보가 낙태권 및 생식권 보장을 주장하며 여성 유권자의 지지를 구하고 있는 반면, 트럼프 후보는 연방 차원의 낙태권 보장에 명확한 찬반 의견을 내지 않고 주 정부 재량이라는 주장을 반복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