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9월 27일, 파쳄 작은 도서관과 서경대학교 금융소비자연구회(FCL) 금융교육 콘텐츠팀이 공동으로 기획한 경제교육 프로그램 「복작복작 경제이야기: 엄마아빠는 무슨 일을 할까?」가 초등학교 저학년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이번 교육은 어린이들이 일상에서 자연스럽게 경제 개념을 이해할 수 있도록 마련되었다. 참가 학생들은 생산활동의 개념과 직·간접적 생산활동의 차이를 배우고, 제품을 만들거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활동을 통해 이를 체험했다.
교육은 개념 설명과 체험 활동으로 구성되었다. 학생들은 부모님의 직업과 자신의 장래 희망을 통해 생산활동의 의미를 배우며, 생산활동을 통해 발생하는 소득과 이를 기반으로 한 소비의 구조를 익혔다. 특히 ‘샌드위치 가게 놀이’를 통해 샌드위치 가게, 목장, 농장, 빵집 등이 다양한 생산활동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음을 직접 체험하며 경제의 상호보완적 구조를 이해하는 시간을 가졌다. 또한 이번 교육은 부모님의 노동과 헌신 속에 담긴 사랑을 자연스럽게 느낄 수 있도록 구성되어, 경제교육을 넘어 인성교육의 의미도 더했다.
한편 지난 첫 번째 프로그램에 이어 진행된 이번 두 번째 교육에는 참여 학생 수가 2배 이상 늘어나며 지역사회 내 높은 관심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두 차례 모두 참여한 한 학생은 “다양한 놀이로 배우는 경제가 재미있다”며 높은 만족도를 보였고, 이후 프로그램에도 계속 참여하고 싶다는 뜻을 밝히는 등 뜨거운 호응을 보였다.
파쳄 작은 도서관과 서경대학교 금융소비자연구회(FCL)는 앞으로도 어린이들이 실생활과 연결된 배움을 통해 건전한 경제 습관을 형성할 수 있도록 꾸준히 협력해 나갈 계획이다.
|
초등 저학년생을 위한 경제교육 아이디어 |
| 1. 샌드위치 가게 놀이 |
| ◎ 활동: 샌드위치 가게를 중심으로 빵집, 농장, 목장 등 재료를 공급하는 다양한 역할을 나누어 놀이함. 직접 야채를 기르거나, 빵을 굽거나, 재료를 배달하는 등 직·간접적인 생산활동을 체험하면서 하나의 상품(샌드위치)이 만들어지기까지 여러 단계의 생산과정이 있음을 배움. ◎ 메시지: 하나의 가게에서도 단일한 생산활동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 다양한 생산활동이 함께 이루어진다는 것을 이해함(예: 농장에서는 야채를 기르는 직접 생산활동뿐 아니라, 포장·운송 같은 간접 생산활동도 이루어짐.) |
| 2. 생산활동에 의한 소득 및 소비 |
| ◎ 활동: 샌드위치 가게 놀이를 통해 생산활동의 결과로 소득이 생긴다는 것을 경험함. 직접 만든 샌드위치를 판매해 소득을 얻고, 그 소득으로 물건을 사는 활동을 통해 ‘생산 → 소득 → 소비’의 과정을 자연스럽게 익힘. ◎ 메시지: 생산활동을 통해 소득이 생기며, 이러한 소득이 있어야 소비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함. 우리가 입는 옷, 먹는 음식, 사용하는 물건 모두 부모님의 생산활동과 노력으로 가능함을 깨닫고, 부모님께 감사하는 마음을 가짐. |

서경대학교 금융소비자연구회(FCL)는
금융정보공학과 박원주 교수가 지도하는 학생 중심 금융 연구회로,
어려운 경제 금융 소식을 독자 여러분께 쉽고 재미있게 전달하기 위해
격주 1회 콘텐츠를 발행합니다.
*외부 기고자의 원고는 본지의 편집 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