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팁스칼럼]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AI 교육 플랫폼’ 전쟁…손놓은 한국
작성 2025-07-01 18:05:29
업데이트 2025-07-01 18:06:31
에스토니아의 교육 플랫폼 ‘eKool’ 로고.
핀란드의 에듀테크 플랫폼 ‘에듀케이션 핀란드’ 로고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 등 글로벌 거대 IT 기업의 글로벌 교육 콘텐츠 플랫폼 장악 노력이 거세지고 있다. 지난달 26일(현지 시각)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구글 클라우드 서비스는 영국 최대의 교육 콘텐츠 플랫폼인 ‘피어슨(Pearson)’과 AI 기반 학습 시스템 개발을 위한 다년도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로이터 통신 등 언론과 전문가들은 교육 콘텐츠에 강점을 지닌 피어슨과 크롬북, 구글 드라이브 및 AI 시스템 등 IT 기술 분야의 정점에 있는 구글이 협력하여 글로벌 교육 콘텐츠 플랫폼화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들의 이러한 움직임은 이미 수년 전부터 관측됐다. 가장 앞장선 곳은 단연 구글이다. △구글 클래스룸 △크롬북 △과제 등 다양한 학습 기능을 내놓고 저가 학습 기기인 크롬북 배포에 적극 나섰다. 마이크로소프트 역시 마이크로소프트내 협업툴인 ‘팀즈’를 활용해 △러닝 엑셀러레이터 △원노트 클래스 노트북 등 다양한 기능을 내놓고 있다.

이들이 교육 콘텐츠 플랫폼 사업에 적극 나서는 이유는 단기적 수익성보다 ‘장기적 관점’이 크다는 게 전문가들의 평이다. 구글 크롬북의 경우 성인 평생교육 등에도 활용되지만, 교육 플랫폼으로 자리를 잡으면 유아동부터 성인, 중장년까지 자신들의 ‘생태계’ 안에 묶어놓을 수 있는 ‘락인(Lock in)’ 효과를 낼 수 있기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 다양한 유저 데이터도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해당 국가의 교육 정책부터 교육 수준, 관심사, 사회적 화두까지 한번에 파악할 수 있다. 그야말로 ‘미래 먹거리’인 셈이다.

구글이나 마이크로소프트는 자사 생태계 안에서 글로벌 교육 시장으로 뻗어나가던 기존 방식을 깨고 몇년 전부터는 현지 스타트업이나 전통 교육기업 등과 협력에도 적극 나서고 있다. 콘텐츠 확충 및 현지화에 가장 유리한 방법이기 때문이다. 여기에 아직 휴대폰 시장에서의 애플처럼 ‘압도적 승자’가 나오지 않은 상황이라는 점이 이들의 경쟁에 더욱 불을 붙였다.

 

◇목적에 따른 서비스 난립 중인 국내 상황… 해외 사례 벤치마킹해 키워내야

반면 우리나라는 AI 교과서 논쟁 등으로 교육 관련 AI에서 실질적인 논의나 육성책이 답보 상태에 머물러 있다. 이재명 대통령 취임 이후 ‘소버린 AI’를 강조하고 나섰지만, 아직 뾰족한 해법이나 대책이 나온 건 없다.

국내 IT 기반 교육 플랫폼은 모두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등 등 우리나라의 경우 구글 크롬북을 활용하거나, 교사나 학교 재량에 따라 ‘클래스팅’ ‘키즈노트’ 등을 자체적으로 선택해 사용한다. 그마저도 담당 교사가 바뀌거나 서비스 내 대규모 업데이트가 있을 때마다 사용자 이탈 등 이슈가 이어지고, 대부분 거대 IT 기업에 대항하기엔 규모가 작은 스타트업, 중소~중견기업에 머물러 있다는 문제가 있다. 구글이나 마이크로소프트처럼 ‘생태계’에 데이터와 사용자를 모두 호환하는 게 아니라 개별 서비스의 노력으로 각각 목적에 따라 쓰이는 구조다.

그나마 기대를 모으고 있는 게 네이버다. 네이버클라우드가 에듀테크 플랫폼 ‘웨일 스페이스’ 등으로 확대하려 노력 중이지만 구글, 마이크로소프트의 공세에 대항하긴 쉽지 않다. 비상교육이 ‘올비아CL’ 등 자체 서비스를 내놓고는 있지만 점유율은 높지 않다. 여기에 서비스 내용이나 방식, 다루는 교육 콘텐츠나 서비스의 질이나 방향성 등이 각 회사에 맡겨져 철저히 민간 중심으로 운영된다는 단점도 있다.

이런 상황에서 참고할만한 해외 사례가 있다. 바로 ‘디지털 교육 강소국가’ 에스토니아와 핀란드의 사례다. 이들 두 나라는 각각 자체 메신저나 학사 관리부터 성적관리, 학습까지 사용되는 에듀테크 플랫폼을 운영 중인데, 정부가 공공성 중심의 가이드라인을 만들고 민간 기업들이 이 기준에 맞춰 플랫폼을 개발해 보급한다. 기술력, 자율도가 부족한 공공이 개발 대신 각 나라의 교육의 방향과 과제에 맞춰 플랫폼의 세부 가이드라인을 지정하면, 민간 기업이 기술력을 발휘해 매끄러운 프로그램을 만들어 공급하는 구조다. 플랫폼에서 발생한 데이터 보안 및 활용 범위 역시 정부가 지정해둔 가이드라인 안에서만 인정돼 정보 유출 등의 위험도도 낮췄다.

‘기본 AI’의 첫 걸음은 교육이 내딛어야 한다. 공공이 이끌고 민간이 자유롭게 뻗어나가는 ‘공공성과 혁신의 공존’이 이재명 정부가 내놓은 국정 운영의 청사진이다. AI 주권의 장기적 토대가 될 ‘AI 기반 교육’에도 ‘이재명식 가이드라인’이 꼭 필요한 때다.

저작권자 © 더팁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400

더 팁스
주소 : 서울특별시 구로구 디지털로 33길 48, 대륭포스트타워7차 20층
전화 : 02-597-2340
등록번호 : 서울 아55691
등록·발행일자 : 2024년 11월 4일
발행인 : 김맹진
편집인 : 임영진
개인정보보호책임자 : 임영진
청소년보호책임자: 김령희
Copyright by 더팁스 All rights reserved.
보도자료 및 제보 메일 news@thetibs.kr